본문 바로가기

휴지통../AWS

AWS EC2를 통해 내가 만든 프로젝트 접근하기

지난 주에 승훈이에게 알려줬던 내용을 정리차 적기로 했다.

-  AWS EC2 생성

 

EC2 생성

 

AWS 홈 화면에서 가상머신 시작 혹은 검색창에 EC2 검색 후 인스턴스 생성으로 EC2를 생성 할 수 있다.
EC2란 아마존에서 관리하는 가상머신인데 '아마존에게 서버 용도의 컴퓨터를 하나 공짜로 빌린다.' 라고 생각하자. (1년만 무료-프리티어)

 

아마존 EC2 리눅스 서버

 

리눅스 서버를 선택해서 대여했다. (윈도우 , 우분투도 사용했지만 리눅스가 가장 편했다.)

이후 프리티어 모델을 선택하고 검토 후 시작 하면 된다.

 

키 페어 생성

키페어란 서버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키를 말하는데 다운로드한 키 파일이 있는 폴더에서 접근 가능하다.
(키 파일은 한번의 다운로드만 가능하니 조심하자.) - 깃 허브 커밋시 키 페어 확인하세요-

 

EC2 생성 완료

 

이제 서버에 접근해보자. 

 

연결

 

인스턴스 연결을 클릭해서 SSH 클라이언트로 연결을 한다.
연결은 키페어가 있는 폴더 위치에서 ssh -i "key.pem" ec2-user@"ec2-~~~~.ap-northeast-2.compute.amazonaws.com" 로 연결하면 된다.

 

연결

 

ls 명령어를 통해 키파일을 확인하고, 서버에 접근한다.

 

안녕 서버

 

서버 접근 완료

 

Hello 폴더 생성

 

파일질라를 통해 hello 폴더 확인

 

확인 완료!

 

이제 로컬에서 만든 웹 어플리케이션을 외부에서 접근 하도록 설정해보자.

 

로컬 3000포트

 

일단 간단한 웹 페이지 하나를 만들고, 깃허브에 커밋하도록 하자.

 

에러

 

생각해보니 서버에 node 와 git을 설치 안했다.

 

리눅스 node 설치 : https://www.hostwinds.kr/tutorials/how-to-install-node-js-on-linux

리눅스 git 설치 : sudo yum install git

 

git clone을 통해 프로젝트 다운로드

 

서버에서 실행!

 

오류

 

분명 맞게 검색을 했는데도 연결되지 않는 이슈가 생긴다. 이유는 EC2에 접근하는 보안 인바운드 규칙을 지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보안 수정

인바운드 규칙 수정을 통해서 웹 프로젝트 설정 포트인 3000포트를 추가해줍니다.

 

 

접속 성공

 

AWS EC2 인스턴스에 접속이 완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