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지통../Spring (21) 썸네일형 리스트형 Spring Boot OPEN API 활용 - 원하는 필드만 사용하기. - Open API 활용 Open API 활용을 하여, 조회 API 예제를 풀게 되었는데 API를 만들어보기만 했지, 사용한 경험은 적었던 것 같아서, 쩔쩔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OPEN API를 활용하여, 원하는 객체를 return 하는 작업을 하기로 했다. 목표는 JSON API를 내가 원하는 field만 조회하여, API를 만드는 것이다. 1. String 형 첫 실습에는 결과값만을 확인하기 위해서, 무지성으로 출력했던 것 같다. get을 통해 원하는 값을 빼오긴 했지만, 아무래도 파싱값을 String 형식으로 바꾸어 다시 Object형식으로 출력하는 것은 맞는 형식은 아닌 것 같았다. 2. 객체 형식으로 출력 목표는 API 안 actor 배열에서 peopleNm과 peopleNmE.. Spring 게시판 만들기 스프링을 통해서 게시판 만들기 start.spring.io를 통해서, 스프링부트를 실행시켰다. DB를 연결하기 위해서 JPA,Lombok,MysqlDriver를 추가로 설정해두었다. 사진에는 없지만, Front는 Mustache를 이용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SpringBoot + JPA + Mysql 로 REST API 만들기 이전 REST API는 DB 없이 내장 메모리를 통해 구현했기 때문에, DB를 사용한 Rest API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굉장히 간단하다. 1. Start.Spring.io Dependencies에 MySql DB를 사용하기 위해서 MySQL 드라이버를 추가하였고, JPA, Lombok을 추가로 주입하였다. - application.properties spring.jpa.show-sql=true spring.jpa.generate-ddl=true #Mysql spring.jpa.database=mysql #DBNAME = db??, username, password?? spring.datasource.url=jdbc:mysql://localhost:3306/lee?useSSL=false&charact.. Spring boot 로 RESTful API 구현하기 1. Rest API를 사용하여, 개발 언어를 등록, 수정, 삭제 , 조회하는 기능 구현 2. UI/UX 와 DB 없이 단순 API 개발 예정 Start.Spring.io 를 통해 스프링부트 개발 파일 생성. ( 단순 REST API 개발이기 때문에 디펜던시에는 Spring Web만 추가) 1. 사용자 요청 처리! 1. @Controller 어노테이션을 통해서 사용자의 요청이 들어왔을 때 해당 Controller에 매핑된다. 2. @RequestMapping을 통해 해당 Request의 함수와 경로를 지정할 수 있다. PostMan을 통해 원하는 값이 나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직접 HTTP 메소드를 통해서 사용자들이 원하는 기능을 하도록 설정해보자. REST API는 GET,PUT,DELETE,P.. SpringBoot 입문 - DB와 프로젝트 연결하기 SpringBoot 입문 - DB와 프로젝트 연결하기 1. DTO를 entity로 변환 @Entity 어노테이션을 이용하여 선언해준다. Entity 는 DB와 1대1 매핑 되는 역할을 함으로 DB안에 있는 값과 일치해야한다. 이후 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저장소를 선언해주는데 Repository 인터페이스는 Crud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으로 선언해준다. DTO ArticleForm에 있는 toEntity함수를 이용하여 해당 DTO를 엔티티로 선언해줍니다. 다음으로 CrudRepository의 save 메소드를 이용하여 DB안에 저장하게 합니다. SpringBoot 입문 - Form 데이터 주고받기 Form 데이터 주고 받기 1. 입력 폼 생성 Form 데이터는 데이터를 객체 형식으로 보내게된다. mustache를 이용하여 입력 Form을 만드는데 해당 과정에서 유의해야할 점은 name에 자신이 원하는 변수 이름을 지정하는 것이다. 해당 변수는 이후 DB의 칼럼값과 일치해야한다. 이후 데이터를 보내는 과정이기 때문에 post 메소드를 통해서 articles/create 를 향해 데이터를 보내준다. 2. 컨트롤러 생성 이후 컨트롤러를 생성해주는데 @GetMapping을 통해서 해당 Form을 화면에 표시해주고, @PostMapping을 통해서 Form에서 선언해준 데이터 전송 URL을 입력해준다. 3.DTO 생성 위에서 서술하였듯이 데이터를 보내줄때는 객체 형석으로 데이터를 보내게되는데 해당 객체를 .. SpringBoot 입문 - Layout 나누기 - 레이아웃 구조 우선 레이아웃을 적용하기 위해서 Bootstrap을 적용시켜준다. 이후 Template 폴더 밑에 header.mustache 파일과 footer.mustache 폴더를 만들어 해당 레이아웃을 나누어줍니다. 이후 Model 역할을 하는 mustache 파일에서 {{>layouts/footer}}, 와 {{>layouts/header}}을 통해서 원하는 html 코드를 불러옵니다. 사진과 같이 원하는 HTML 뷰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SpringBoot 입문 - Helloworld와 MVC - 스프링 부트 구조 웹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의 요청과 서버의 응답으로 이루어지는데 스프링 부트가 응답을 해주는 서버의 역할을 해준다. 스프링 부트 실행 시 localhost:8080을 통해 접근 가능한데 localhost는 자신의 클라이언트 환경 자신의 컴퓨터를 의미하고, 8080은 스프링부트 포트를 의미한다. 스프링부트는 Java 코드와 resources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resources/static/.html을 통해서 원하는 경로로 접근 가능하다. ex) localhost:8080/hello.html -> Hello world - MVC 패턴 MVC패턴이란 Model View Controller를 설명하는 것으로써 변수 값만 바꿈으로써 다양한 페이지를 만들 수 있는 점이다. Mustache와.. 이전 1 2 3 다음